그래서 만경대고향집에는 축음기를 구경하러 어른, 아이 할것없이 온 마을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축음기라는 말조차 귀에 설었던 마을사람들은 거기에서 울려나오는 소리를 몹시 신비하게 생각하였다.
그때 어리신
김형직선생님께서 소리판을 갈아넣으실적마다 여러가지 소리가 울려나왔는데 개들이 짖어대는 소리까지 들리여 마을사람들을 웃기였다.
통안에 진짜 강아지가 있는 모양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인형만한 사람이 들어있을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들의 말을 들으신
저녁때가 되여 마을사람들이 돌아가고
잠시후 밖에 나갔다가 방안으로 들어서시던 할머님께서는 뜻밖의 광경앞에 그만 아연실색하시였다. 깨여진 소리판쪼각들이 방바닥에 널려져있었고 나팔통이 빠져있었던것이다.
남의 축음기를 못쓰게 만들었다고 걱정하는 할머님에게
어리신 손자분의 너무도 뜻밖의 대답에 아이들의 장난으로만 생각했던 할머님께서는 놀라움을 금치 못해하였다.
그때 마침 방안으로 들어오신 김형직선생님께서는 첫눈에 벌써 집안에서 있은 일을 짐작하시고 미소를 지으신채 아드님에게 통을 뜯어보니 그속에 무엇이 있더냐고 물으시였다.
아버님께서는 웃으시며 그속에 사람이나 개가 있는것이 아니라 그런 소리가 나도록 만든 기계라고 그 리치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였다.
그러시고 사람들은 소리를 내는 축음기와 같은 기계를 만들어낼뿐아니라 군함도 비행기도 만들어낸다고, 그래서 사람이 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롭고 귀중한것이라고 일깨워주시였다.
그처럼 어리신 나이에 벌써 기계의 조화를 자기스스로의 힘으로 알아내려고 애쓰는 아드님의 비상한 탐구심을 두고 몹시 대견해하시며 김형직선생님께서는 자기의 눈으로 축음기의 속을 끝까지 알아보려고 한것은 잘한 일이니 앞으로도 무엇이든 그 리치를 알아내려면 대담하게 해보아야 한다고 고무해주시였다.
나어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