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된 이듬해인 주체35(1946)년 여름 수풍발전소에서는 례년에 보기드문 큰 비로 압록강물이 넘어나면서 에프론이라고 부르는 언제물받이구조물이 크게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군데군데 홈이 패이고 금이 간데다가 언제와의 접촉부문이 허공중으로 들리우기까지 한 이 사고를 그대로 둔다면 결국 쓸모없이 된 에프론때문에 지지력을 잃은 거대한 수풍언제가 물에 밀리워 허물어질수 있었다.
사태의 위험성을 간파하신
과학자, 기술자들은 현지에 나가 피해규모와 그 원인을 알아보고 대책을 토의한 후 그 결과를
그러던 어느날이였다.
그러나 누구도 선듯 대답을 올리지 못하였다. 그러는 그들을 둘러보시던
그러시면서 내가 보기에는 수풍언제밑으로 슴배여나오는 물이 에프론밑바닥에 고여있는것 같다. 그 물이 량압으로 되여 에프론을 올리밀었다. 그런데 우에서는 우에서대로 범람한 큰물이 떨어졌다. 그래서 아래 웃쪽에서 뻗치는 힘을 견디지 못하여 종시 에프론블로크들이 들리우고 금이 가고 패워나간것 같다.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이렇게 보는것이 옳다. 원인을 이렇게 보면 6만㎥의 몰탈투입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수 없다. 언제밑으로 흐르는 물부터 막아야 하고 에프론밑바닥에 고여있는 물도 깨끗이 빼내고 그것을 암반에 든든히 고착시켜야 한다. 동무들은 이런 방향에서 현지조사도 다시 하고 대책안도 고쳐야 하겠다고 교시하시였다.
과학자, 기술자들은 수리공학적으로 풀기 어려운 피해의 원인을 그렇게도 간단명료하게 밝혀주시고 과학적리치에 맞게 명백한 해명을 주시는
여기에 커다란 충격을 받은 일군들이 자기들의 심정을 김책동지에게 이야기하였더니 그도 감동된 심정을 금할수 없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는것이였다.
《솔직히 말하면 나도 무척 놀랐소. 그래서 나는 외람된 일인줄 번연히 알면서도 장군님께 어떻게 되여 문제를 그리도 쉽게 푸십니까하고 묻지 않았겠소. 그랬더니 장군님께서는 크게 웃으시며 동무들은 마치 나를 공학부문의 대가로 여기는것 같은데 아다싶이 나는 공학부문에 조예가 깊지 못합니다. 나는 다만 락수물이 토방에 떨어지는 경우를 생각해보았습니다. 흔히 민가에서는 락수물때문에 토방이 어지러워진다고 세멘트땜을 하고있는데 그게 오래가지 못하는것이 우에서 떨어지는 락수물보다 그밑에 고이는 물때문이 아니겠소? 수풍언제밑의 에프론이 파괴된것도 리치상으로는 이와 다를게 없다고 생각하였소라고 말씀하시지 않겠소. 우리 장군님은 이렇게 비범한 분이시오.》